건강정보

코딱지-질병의 신호일수도

금종 2023. 7. 11. 08:38

코딱지-질병의 신호일수도

 
 
 
 
 
코딱지가 거무스름한 초록색이라면 위축성비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숨을 들이마시면 산소와 함께 공기 중의 먼지, 세균 등도 함께 들어온다. 이때, 이물질이 코털에 붙으면 콧물과 함께 뭉쳐 코딱지가 된다. 콧속에 생성된 코딱지로 건강상태를 점검해 볼 수 있다.

◇신체의 정상반응

코딱지가 생기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요즘 같은 여름철에 선풍기, 에어컨 사용 등으로 콧속이 건조해지면 평소보다 코딱지 양이 늘어나기도 한다. 코딱지는 보통 불투명한 흰색이나 옅은 노란색을 띠는 것이 정상이다.

 

◇질환 의심할 때는

한편, 코딱지가 평소와 달리 거무스름한 초록색을 띤다면 위축성비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위축성비염은 비강의 점막과 뼈가 위축하는 질환이다. 주요증상인 악취의 유무에 따라 악취성 위축성비염과 단순성 위축성비염으로 나뉜다. 비타민A, 철분 부족, 외부 자극에 의한 콧속 점막 손상, 노화 등이 원인이다. 녹색의 마른 코딱지가 비교적 크게 생성되며 콧물이 나지 않는다. 코피, 코와 목 건조, 이물감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증상 완화 방법

위축성비염을 개선하려면 코 점막의 온도, 습도 조절은 필수다. 실내 온도는 섭씨 20~25도 사이로, 습도는 50~60%를 유지해야 한다. 비타민A, 철분이 풍부한 케일, 시금치, 당근, 콩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게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 증상이 나아질 때까지 따뜻한 생리식염수로 코를 세척하는 게 좋다. 증상이 심할 때는 항생제나 콧물을 묽게 하는 점액용해제 복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코딱지 줄이려면

무리하게 코를 파서 코딱지를 제거하면 안 된다. 코딱지가 생겼다면 양손에 물을 받아 코앞에 댄 후 물을 살짝 빨아들였다가 다시 배출하자. 코딱지가 물에 젖어 부드러워져 쉽게 떨어진다. 식염수 스프레이로 코딱지를 불려서 제거해도 된다. 바세린이나 파라핀 연고를 활용해 코딱지를 줄이는 방법도 있다. 코 안에 바르면 점막이 촉촉하게 유지돼 코딱지가 덜 생긴다. 새끼손가락에 묻혀 넓게 펴 바르거나 면봉으로 콧구멍 입구 바로 안쪽에 소량 얹은 뒤 손으로 양 콧방울을 누르면 된다. 

 

 -이메일로 받은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