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뇌경색 유발
느닷없이 부르르 떠는 심장박동을 겪으면 부정맥 중 하나인 심방세동을 의심해야 한다. 노화가 주 원인으로 전체 60대에 5% 남짓이던 환자가 80대에 이르면 약 15%까지 증가한다. 앞으로 고령 인구가 급격히 늘면서 나중엔 고혈압처럼 많은 환자가 나올 거란 우려가 나온다. 진은선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의 도움을 얻어 심방세동에 대해 알아봤다.
진은선 교수
심장 박동이 빨리 또는 느리게 불규칙적으로 뛰는 질환을 부정맥이라고 한다. 부정맥의 범주는 매우 넓어 그 자리에서 급사하는 부정맥부터 무시해도 되는 부정맥까지 다양하다. 심방세동은 이러한 부정맥 중 하나다. 심방세동은은 노인 10~15%가 경험하는 흔한 질환이지만 방치하는 사례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뇌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하루 종일 증상이 지속되는 지속성 심방세동에는 심전도 검사가 유용하지만, 가끔씩 나타나는 발작성 심방세동에는 검사에 한계가 있다. 심전도는 심방세동이 유발될 때 측정해야 한다. 이런 환자는 심전도를 몸에 부착하고 하루나 이틀 기록하는 생활심전도(홀터)검사를 받으면 된다. 24시간에서 72시간 동안 심전도 장치를 가슴에 부착해서 맥박을 기록한다. 더 길게는 3일, 일주일, 2주일 단위로 측정하는 장치도 있다. 만일 1년에 몇 번씩만 증상이 생길 정도로 증상이 뜸하다면, 평상시 들고 다니다가 부정맥이 발생했을 때 사용하는 간이심전도 기기를 이용하면 된다. 이외에도 심장 부위 피부에 작은 칩을 넣어두고 기록하는 삽입형 심전도기록장치도 있다. 최장 3년까지 기록한다.
부정맥을 진단하는 데에 심전도 기능이 있는 스마트워치가 매우 유용하다. 두근두근 이상한 증상이 느껴진다면, 스마트워치로 즉시 심전도를 찍어 보거나 특별히 증상이 없는데도 부정맥이 있다는 경고가 뜨는 경우에도 심전도를 찍는 게 좋다. 다만 진은선 교수는 “스마트워치가 잘못 판독하는 사례도 꽤 많기 때문에 스마트워치의 판독을 그대로 믿지 말고, 해당 심전도를 출력해서 병원으로 가져와 전문의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방세동 치료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다. 하나는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항응고치료다. 당뇨병이나 고혈압 같은 동반질환이 있는지, 나이, 뇌경색증 기왕력 등을 참고해 점수를 매기고, 기준을 넘어서 혈전이 생길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약을 처방을 한다. 다른 하나는 심방세동 자체를 치료하는 것이다. 심방세동이 생겼다 없어졌다를 반복하는 발작성의 경우에는 비교적 초기이기 때문에 약을 써서 적극적으로 정상리듬을 유지시켜주는 치료를 한다. 약을 써도 부정맥이 강하게 튀어나오는 환자는 고주파로 해당 부위를 지져주는 고주파전극도자절제술이나 냉동풍선시술을 하게 된다.
-이메일로 받은 자료-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르고 건강하게 걷는 법 (0) | 2023.04.13 |
---|---|
숙면에 좋은 식품 (0) | 2023.04.12 |
재가열 시 독이 되는 음식 (0) | 2023.04.10 |
결막염 원인과 치료 (0) | 2023.04.09 |
대사증후군 발생 원인과 예방 방법 (0) | 2023.04.08 |